안녕하세요 까치입니다.
요즘 급등하는 금리에 앞으로 이자 계산은 무엇이든 꼼꼼히 해야겠다고 결심하는 요즘인데요.
오늘은 아파트를 분양받았을 때 납부하는 중도금 대출 이자 계산에 대해 배우고 쉽게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OpenClipart-Vectors, 출처 Pixabay
최근 분양공고가 나고 중도금 이자후불제로 공고한 인덕원자력 SKVIEW를 예로 들어봅니다.
무이자 후불제 보통 두 종류가 있습니다.
무이자는 말 그대로입니다.대출에 대한 이자를 받지 않는 것이며,
이자후불제란 이자를 대납하고 잔금을 낼 때 일할 계산하여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처럼 금리가 높을 때 이자후불제 아파트를 분양받은 경우,
반드시 입주 지정 시 납부해야 할 이자에 대해 미리 계산해 두지 않으면 나중에 당황할 일이 없어집니다.
투기과열지구 40% 조정대상지역 50% 비조정지역 60%
분양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아파트가 같은 비율의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규제가 가장 강한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중도금 60% 중 40%만이 중도금 대출이 가능하며,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보통 50%,
규제가 없는 비조정 지역의 경우 60%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덕원자력 SKVIEW59A 기준층 분양가 7.7억 중도금 대출 4회(40%) 1회당 중도금=10%
입주 시 내야 할 이자는 모두 얼마일까.
오늘의 예를 들어볼 아파트에서
전용 59㎡A 타입의 기준층 중도금 대출은 1, 2, 3, 4회를 받는다고 가정하고,
입주 시 내야 할 이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인터넷으로 많이 찾는데 이자계산기를 활용해주세요.
아래 노란색 칸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면 합계란에서 지불해야 할 이자를 볼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총분양금액은 입주자 모집공고에 나오는 총분양가,
입주일은 입주 지정일이 2025년 5월로 되어 있고, 2025년 5월 1일로 상정하고 있었습니다.
연이율의 경우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크게 올라 계산 편의를 위해 5%로 가정하고,
중도금 1회 금액은 분양가의 10%로 입력했습니다.
중도금 실행일이 중요한데요.

각 중도금 실행일의 10%를 실행할 때마다 그 금액의 이자가 일할 계산되기 시작합니다.
각 회마다 차용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따라서 1차 때 실행한 중도금이 가장 오랜 기간 빌리게 될 것입니다.
네 번째 때 받은 대출금액이 가장 짧은 기간 차용하기 때문에 이자가 가장 적게 나옵니다.
이 아파트 전용 59A 입주 시 약 355만원의 이자도 별도 경비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절대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1, 2, 3, 4차 말고 3, 4, 5, 6차 받아도 돼요?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내용인 것 같아요.
물론 해당 입주자 모집 공고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인 내용은 확인해야 하지만,
보통 실행해주는 은행에서 1,2,3,4 대신 3,4,5,6회로 해주는 경우를 제 경험상 더 많이 봤습니다.(자세한 것은 개인적으로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이자를 줄이기 위해 1, 2차는 자기 돈으로 자납한 후,
3, 4, 5, 6번째를 받는 경우의 이자도 살펴봅시다.
1, 2차가 5, 6차로 이전하고 3, 4차일 경우 첫 번째 책 1, 2, 3, 4차 때와 마찬가지로
대출기간이 같아서 해당 회차의 이자는 동일합니다.

약 1,327만원으로 천만원 이상의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간단요약 오늘은 아파트 분양받았을 때 중도금 대출 이자 계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최근에 분양한 인덕원자력 SKVIEW를 예를 들면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 Alexander Stein, 출처 Pixabay
무이자면 다행이지만 요즘처럼 금리가 높은 시기에 분양가에 따라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나중에 계산해 보자기보다는 청약하기 전에 미리 계산해 보는 것이 나중에 당첨됐을 때 자금 계획에 용이할 것 같습니다.
이자율을 3%로 계산한 경우에는 1, 2, 3, 4회를 받는 경우가 3, 4, 5, 6회를 받는 경우보다 약 6백만원 정도 차이가 나는데,
이자율을 5%로 계산하면 약 천만원 이상의 경비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중도금 회차를 언제 받을지 지미리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포스팅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공감과 댓글은 항상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