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1

주식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예비투자자는 반드시 주식시장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와 종목 분석을 꼭 해야겠다.
아무것도 모른 채 주식투자를 시작하면 주식투자가 아닌 도박이 될 확률이 높다.
주식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가 끝났다면 이제는 내가 투자할 종목을 발굴하는 종목 분석을 해야 한다.

과거 포스팅을 언급했듯이 전문적인 분석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이 회사가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어디에 위치한 회사인지, 재무 상태는 어떤지 기본적인 분석은 해야 하지만 지금 막 주식을 시작하는 주린들에게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주식시장에는 무수한 주식이 상장돼 있는 국내 주식시장에만 2000개가 넘는 종목이 상장돼 있는데 이 중 옥석을 제거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이처럼 많은 종목을 일일이 분석할 수는 없기 때문에 종목을 선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1. 가치주? 배당주?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2

출처: FlowBank 종목을 여과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나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내 투자 성향에 따라 내가 투자하는 종목의 방향성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투자에 앞서 가치주 투자를 선호하는지 배당주 투자를 선호하는지 등을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3

출처 : Cascade 이렇게 투자 스타일이 결정되면 톱다운과 보텀업 등에 따라 분석 방식이 나뉘는데 톱다운의 경우 거시경제를 분석한 뒤 산업 및 기업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하는 방식이다.
큰 틀에서 작은 틀로 분석 방향이 점차 바뀌었기 때문에 ‘톱다운 투자’라고도 불린다.
특히 톱다운 분석 방식의 경우 경기 흐름을 잘 파악해야 한다.

상향식 방식은 하향식 반대 개념으로 개별 기업에 대한 분석을 마친 뒤 종목을 선별하는 투자 방식이다.
회사가 성장산업에 속하지 않더라도 기업 자체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저평가되고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투자하는 투자 방식이다.
톱다운의 경우 장기투자에 적합하고 상향식의 경우 단기투자에 적합한 성격이 있다.

2) 트렌드분석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4

출처: Montley Fool이나 투자 성향을 파악했다면 그 다음에 현재의 시장 트렌드를 파악해야 한다.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섹터가 존재하는데 이들의 현재 부상하고 있는 산업분야가 어디인지, 하향 중인 산업분야가 어디인지 섹터를 구분해야 한다.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5

위 테슬라, 아래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2021년 테슬라가 역대 최고가를 경신할 당시 LG에너지솔루션도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는 흐름을 보였는데 LG에너지솔루션이 자동차 전지와 관련해 전기차 수혜주였기 때문이다.
시장 트렌드는 계속 바뀌기 때문에 시장을 꾸준히 지켜보면서 주목받는 섹터가 있다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기업분석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6

위 과정을 모두 마치면 이제 본격적으로 기업 선별을 위해 기업 분석을 시작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는 사람마다 분석 방식이 다 다르다.
기본이 되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에 중점을 두고 기술적 분석을 해야 하는 차트 분석을 통해 기업을 분석하고 선별하는 사람도 있다.

나는 과거 기술적 분석을 통해 A라는 회사를 선별했고, 지인은 같은 섹터에 위치한 B라는 회사를 오직 순이익만을 바탕으로 선별했는데 선별한 A라는 회사가 10%의 주가수익률을 달성하는 동안 지인이 선별한 B라는 회사의 주가수익률은 무려 25%였다.

이처럼 주식시장은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술분석을 통한 기업분석을 완벽하게 했더라도 무작위로 선별하는 회사보다 수익률이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손실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장담할 수 있지만 주식시장에 혹은 내가 투자하는 종목에 위기의 순간이 오면 그동안의 노력과 지식이 우리의 자산을 지켜줄 것이다.

인플루언서 팬들에게 바로가기↓↓

주식종목분석 잘하는 법 (Ft. 탑다운, 하의업, 트렌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