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은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FA-50 초음속 경공격기 18대에 대한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1조2000억원(약 9억2000만달러)이다.
지난해 7월 폴란드에 FA-50 48대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한 데 이은 또 하나의 대대적인 수주다.
참고로 KAI가 동남아시아 국가와 수출 계약을 맺은 것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말레이시아 2차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기존 68대를 합체해 총 104대를 수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미국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에 대형 기체 구조물을 공급하는 13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기간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계약 규모는 1억500만달러(1300억원)다.
이번 계약에 따라 KAI는 외부 압력과 항공기 자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스트럿, 스트럿, 피벗 샤프트 등 14종의 랜딩기어 부품을 보잉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KAI는 오늘부터 내달 5일까지 호주 멜버른에서 열리는 아발론 국제에어쇼 2023에 참가하기로 했다.
KAI는 이번 아발론 국제에어쇼에 처음으로 참가해 FA-50 경공격기, KF-21 전투기, 경무장헬기(LAH) 등의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최근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결정한 한화그룹이 KAI를 인수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꾸준히 새어나와 문제가 됐다.
그러나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은 KAI 매각에 대해 “인수설이 계속 나오는 이유는 수요가 있기 때문인데 공급자(KAI)는 그런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또 강 대표는 “매각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 임직원의 의사와 정부의 의지인데 우리 임직원의 99%가 반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록히드마틴과 보잉이 경쟁하는 미국의 경우를 언급하며 “KAI를 민간에 넘기면 (한국이) 과점이 되어 전반적인 안보의 틀이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거기서 지적했다.
최근 이슈를 보면 수출이 확실히 잘 되고 있고 매각 논란도 잠잠해지고 있다.
그러나 주가는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국이 경쟁하듯 국방예산을 늘리면서 국내 방산업체들은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현재 KAI의 주가는 보합세인 것이 확실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