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주식투자자들의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진 상태다.
처음에는 ‘공모주 청약만 잘하자’는 투자자들도 이제는 ‘공모 전에 미리 매수하자’는 태도로 바뀌었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상장 전 주식인 ‘비상장주식’ 거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실제로 ‘비상장주식 거래’라고 하면 비상장주식에 대해 묻는 사람이 많다.
사람들이 특히 자주 묻는 사항은 ①어디서 거래하면 되는가? ②시세는 어떻게 확인하는가?③ 거래는 어떻게 진행되는가?위의 질문을 3가지 정도로 고를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위 세 가지 내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포스팅을 써보자.
우선 비상장주식을 거래하려면 이를 중개하는 플랫폼에서 해야 하는데 생각보다 거래가 가능한 곳이 꽤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38커뮤니케이션과 K-OTC, 이외에도 증권플러스 비상장, 엔젤리그 등 생각보다 상당히 많은 곳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38커뮤니케이션이나 K-OTC로 거래하는 게 제일 좋은, 아니 그중에서도 38이 제일 좋은 것 같다.
우선 K-OTC는 신뢰도가 높고 안전하지만 거래 가능한 종목 수가 너무 적은 편이라 들어가보니 ‘이게 없어?”라는 소리가 나온다.
인터페이스가 조금 올드한데다 가시성이 부족해 불편하긴 하지만 역사도 오래돼 많이 쓰는 38커뮤니케이션으로 거래하는 게 가장 좋다.
물론 개인 의견이니까 본인 마음대로…돈 받고 광고해주는 게 아니라 그냥 개인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은 장외시장에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 간단하다 그냥 종목 검색하면 다 나온다.
K-OTC든 38커뮤니케이션, 다른 플랫폼이든 알고 싶은 종목명을 검색하면 가격이 표시된다.
하지만 ‘사겠습니다’의 구분은 해야 합니다.
삽니다는 이 가격에 사면 구매자가 올리고 팝니다는 이 가격에 팔면 판매자가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만약 내가 특정 주식을 사고 싶다면 ‘살게요’에 내가 원하는 가격을 적어주면 되고, ‘팔아요’에서 내가 원하는 종목을 찾아 협상하면 된다.
위 이미지는 현대 엔지니어링 시세를 38커뮤니케이션으로 검색한 모습.
일반 주식과 마찬가지로 현재가, 최고가, 최저가, 등락률이 모두 표시된다.
그러니까 궁금한 종목이 있으면 검색해서 시세를 찾아보면 된다.
마지막으로 비상장주식 거래 방법이든 사이트마다 디테일한 부분은 다르기 때문에 조금 포멀하게 단계를 나눠 설명해보겠다.
쉽게 말해 사고 싶은 종목을 검색해 매도자를 찾아 가격, 수량 협의 후 거래하면 된다.
세부 단계는 다음과 같이 6단계로 나뉜다.
① 거래하고자 하는 비상장주식 종목결정 ② 사이트 접속 후 종목검색 및 시세확인 ③ 기업분석을 통해 적정매수가/매도 판단 ④ 매수인 혹은 매도인을 발견한 후 매매문의 ⑤ 거래하고자 하는 수량, 거래가격협상진행 ⑥ 매도인은 주식을 입금하고 매수인은 대금지급
아까 말했듯이 사이트에 따라 자세한 내용은 다룰 수 있으니 사이트마다 따로 가이드 참고하면 된다.
그리고 38커뮤니케이션에서 찾아보면 고맙게도 비상장 주식 거래 과정에 대한 매매 방법 가이드도 따로 올려놓고 있다.
이 글은 조금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저기는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38코뮤에서 거래한다면 읽어보길 바란다.
이상으로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주식을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다.
최근 워낙 대형 IPO가 많이 진행되면서 비상장주식에 대한 인식이 많이 좋아지고 있다.
그런데 비상장주식은 양날의 칼이다, 현재 장외가격이 적절한지를 상장주식보다 판단하기 어려운 편이다.
누군가는 특정 비상장 주식 가격을 보고 상장 이전 싼 가격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반대로 고평가된 거품이 낀 가격이라고 느낄 수 있다.
때문에 비상장주식을 투자함에 있어 항상 합리적으로 고민하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
물론 종목만 잘 고르면 기회의 땅이기 때문에 너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크래프톤 청약 공모가가 현재 498,000원 사이인데,
과거 크래프톤은 장외 주식시장에서 일주일에 ‘3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계산해보면 대략 15배의 수익을 얻은 것… 어쨌든 좋은 종목이 있다면 매입해 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