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전체의 가축 사육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사육 마릿수를 알아두면 어느 정도 범위 안에서 일이 진행되는지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소의 경우는 48,000마리 정도 사육하고 있다.
이 값이 계속 유지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사육 마릿수는 축산물 이력 시스템이 21년 12월 말 기준으로 제공한 값을 참고로 했다.
같은 팀 직원에게 묻자 통계자료에서 조언을 참고했다.
가축의 수가 변동이 심하다고 한다.
작년 9월부터 같은 팀에서 업무를 보고 있지만 추석 전에 한우 출하(도축) 때문에 브루셀라병 검사를 신청하는 농가가 그 어느 때보다 많았다.
그리고, 가격변동이나 사육관리가 어려운 때에도 변동은 심할 것이다.
얼마 전 한 농가로부터 전화가 왔다.
젖소가 우유를 짜서 축사로 돌아오는 길에 젖소가 미끄러져 다리를 다쳤다고 한다.
그래서 도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전화를 받고 직원들에게 추워지니까 소도 미끄러질 때가 있다며 소가 죽게 돼 가슴이 아프다고 했더니 스태프가 한마디 한다.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좋은 곳으로 보내줘 맛있는 고기가 돼라 한다.
쇠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하는 말인 것 같다.
나는 너무 가슴이 아픈데
가축 사육의 목적이 고기와 달걀, 우유를 얻기 위한 것임을 알면서도 가슴 아픈 것은 사실이다.
통계수치를 보면서 이 수치를 크게 해야 할지 적게 해야 할지 쓸데없는 생각을 한다.
농가는 많이 키워 수입이 많으면 좋겠지만 가축의 생사와 평생이 사람에게 달려 있으니.
소의 경우 3년을 키우면 더 이상 체중이 늘지 않을 것 같다.
어차피 비육을 위한 사육이기 때문에 판매를 위해서라면 일정 기간을 채우고 체중이 농장주가 원하는 만큼 늘어나면 도축을 하는 것 같다.
그보다 나이가 많은 소는 젖소나 아기를 낳는 소다.
돼지의 경우 149개 농장이 등록돼 있는데 이 중 52개 농장에서 사육하고 있다.
약 70,000마리가 사육 중이며, 소에 비해 규모가 매우 크다.
한 농가에서 기르는 마릿수가 50~500마리를 기르는 농가가 16마리, 1000~2000마리, 3000마리 이상 기르는 농가도 있다.
소와 돼지는… 이 사육량이 많을지 어떨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다른 지역과도 비교해야 하고 한국의 전체 공급량과 세계 공급량과도 비교해 봐야 한다.
아직 거기까지는 파악하지 못했다.
내가 알기로 전북지역에서 송아지로부터 이정표 부착비를 가장 많이 사업보조를 받은 곳이 정읍이라고 들었는데 정읍은 규모가 가장 큰 곳일 것이다.
가금류의 경우 사육 마릿수의 변화가 더 심한 편이다.
163개 농장 중 52개 농장에 가금류가 있는 것으로 신고됐다.
대략 2,235,000개의 짐승이 사육중인 것으로 신고되었다.
겨울철 조류독감 때문에 휴지기 농장이 많다.
방역을 위해 일부 농가는 사육 제한을 하는 경우도 있고 자율적으로 겨울철에는 휴지기를 갖는 농장이 많다.
재래식 농장은 아무래도 방역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비닐하우스 여러 동에서 닭을 기르던 농장은 겨울에는 닭을 치지 않는다.
지난해 12월 말 다른 지역(세종시와 충북 음성군, 전남도, 충남 등)에서 조류독감 고병원성 감염으로 닭 폐사가 많았다.
이 때문에 전국적으로 달걀 공급이 막히고 있다는 것이다.
그 지역은 우리 지역보다 큰 규모이다.
농장 밀집 지역에 가면 대규모 공장 지대로 이어지듯 모든 길이 가금 농장으로 이어진다.
그런 곳에서 발생해서 도살처분을 하고 알을 낳는 닭의 수가 적어 달걀 값이 오른 뒤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산란계 닭의 수가 전국적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몇 달이 더 걸린다고 한다.
종란 농가도 AI에 걸려 죽는 상황이어서 농장에 초생추나 중추도 보급할 수 없다고 한다.
AI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은 거의 매일 농장을 점검하러 나간다.
산란계 농장은 사육 마릿수가 많기 때문에 특히 신경을 쓴다.
이 통계 자료를 조사하면 겨울철의 휴지 농장의 수도 파악할 수 있었다.
겨울에 쉰다는 말을 들었는데 이렇게 숫자가 많을 줄은 몰랐어. 재래식 농장이 많다는 말은 들었지만 수는 꽤 많은 것 같아. 또 농장이 여러 농장주가 AI 방역까지 하면서 모든 것을 관리하기 어려워 겨울철에는 농장 하나만 운영하기도 한다.
통계자료를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아. 현재의 자료뿐 아니라 월별 추이나 다른 지역과의 비교 자료도 보고 싶다.
#가축사육현황 #사육두수 #조류인플루엔자 #통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