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안전자산 투자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리가 주식을 분할로 매수하고 섹터를 다양하게 구성한다고 해도, 주식 100%는 위험한 포트폴리오입니다.
증권시장이 흔들리면 계좌도 같이 돌아다니게 되니까요.
안전자산과 함께 자산을 배분하면 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주식은 위험자산이에요.
그렇다면 안전 자산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손꼽히는 것이
김(GOLD)입니다
실물 자산으로는 금,
화폐자산으로서는 달러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손꼽힙니다.
금은
안전 자산인 만큼 위기에 강합니다.
주가지수에 비해서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위험 헤지 작용도 해주는 장점이 있겠죠.
자, 그러면
금(GOLD).
금 투자 / 금테크 방법을 알아볼까요? ^^
최근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로
증권시장은 하락하고,
안전 자산인 금의 가격은 매우 상승했습니다.
얼마나 올라갔는지 차트로 볼게요
<금 현물 일봉 차트>
올해 초 6만 후반부터 ᅡᄋ の 사이였는데,
최근에 고가의 카메라를 촬영하고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금거래소에서의 금시세도 조사해보면,
<출처 : 한국금거래소>
최근 상승폭이 매우 컸다는 것이 한눈에 보이네요.
증권 시장이 굉장히 좋을 때가 있잖아요.
누구나 부동산, 주식을 해서 수익을 얻는 그때.
그럴 때 역발상으로 매매전략을 짜보는 것도
저는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요.
모두가 주목하는 것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모두가 관심을 보이지 않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데서 기회를 얻는 전략.
(실제로 저는 주식 중장기 관점 섹터 선정 시에도 현재 주목받고 있는 섹터는 제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금 투자 / 거래 방법 금 투자 / 거래는 어떤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까?
- 금의 실물거래
많이 해 보셨겠지만 금은 실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는 실물 거래는 권합니다.
^^
<출처 : 한국금거래소>
살 때, 팔 때 가격 차이를 보면
오늘 순금 시세 기준으로
매입가격: , 매도가격: ᅢᄋᆸ 買
매입하는 순간 – 촉이 된다는 것입니다.
10%의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이지만,
10%가 결코 적지 않다는 것을 주식하시는 분들은 아실 거예요.
우리가 10% 수익을 올리기 위해 얼마나 힘든 시간을 견뎌내고 있는가.ㅎㅎ
뿐만 아니라 디자인 비용, 세공 비용 등을 포함하기 위한 비용. 츄!
그렇다면 다음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2) 골드뱅킹 (금통장)
골드뱅킹(금통장) 거래도 나쁘지 않아요.
금 통장을 만들고 예금을 넣고 괜찮으면 금 시세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단점이 있지만, 투자 차익에 대한 15.4%의 이자 배당 소득세가 붙습니다.
출처 : 신한은행 홈페이지
돈 통장도 상품이 다양하군요.^^
금 실물 투자보다는 금 통장이 낫지만 더 나은 다른 방법도 알아볼게요. !
3) KRX 금시장서 매매
2016년부터 증권사에서도 금 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
계좌 개설 방법은 간단합니다.
증권사 계좌 개설 후 HTS/MTS/전화/방문 등을 통해 주식처럼 거래 가능 계좌 종류 : 금 현물 전용 계좌
개설 방식 : 대면 또는 비대면 개설 (기존 주식 계좌 보유 시 HTS상에서 온라인으로 금 현물 전용 계좌 비대면 개설 가능)
다음은 금시장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참조해 주십시오. ^^
KRX 금시장소개 KRX시장안내 일반상품 금시장정보 데이터 시스템에서 금전종목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 시세 조회 open.krx.co.kr
가장 중요한 KRX 금시장 세제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
- 부가가치세 면제-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비과세(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아님)-과세면제-사업자세액공제
이 정도 혜택이면 금을 투자해 볼만하지 않겠어요?^^
더 필요한 경우에는 금을 실물로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10%의 부가가치세와 소정의 수수료는 부과됩니다.
)
4) 금 ETF 매매
3번째 KRX 금시장에서 매매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 ‘금 현물 전용계좌’가 개설되어 있어야 하는데,
만약에 그 과정만 귀찮으시다면
저는 골드 ETF를 추천합니다
KODEX 골드 기프트
TIGER 골드 선물
거래 방법은 가장 간단하지만 이자 배당 소득세 15.4%가 붙으니까 이 부분은 체크가 필요하겠죠. ^^
이상 금 투자방법 네 가지에 대해 간략하게 배워보았습니다.
이웃들은 어떤 방법이 마음에 드시나요?
저는 3,4번 방법이 제일 마음에 들었어요. ^^
증시가 안정되고 금값이 떨어지면 매달 조금씩 금모으기를 해봐도 좋을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가격 움직임이 어땠는지 자료를 보면서 오늘 포스팅은 종료됩니다.
출처 : 한국거래소 유진투자선물 PDF파일
점심 맛있게 드세요^^